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TIP

고속도로 통행권 미발급이나 분실시 대처방법/ 미납통행료 납부방법

by 오곡인포 2023. 7. 25.
반응형

오늘은 고속도로 통행권으로 인해 곤란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인포오가닉 도 한국에서는 물론 해외에서도 이런 경험을 해본 적 있는데요. 식은땀이 흐르고 순간 당황했던 적이 영역하여 좋지 않았던 기억이지만, 여러분들은 겪지 않았으면 하여 방법들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혹시 이런 경험을 하게 되신다면 포스팅을 꼼꼼히 읽어보시고 알아두셨다가 잘 대처하시길 바랍니다.

❶ 고속도로 최장 거리 요금에 대한 상식
❷ 고속도로 통행권 미발급이나 분실시 대처 방법
통행권을 뽑고 하이패스로 나왔을 경우


고속도로 최장 거리 요금에 대한 상식


고속도로 진입 후 24시간이 지나면 최장 거리 통행료가 부과된다는 사실!!!​
알고 계시는가요? 저도 이번에 알게 되었는데요.
통행권 미발급이나 입구영업소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에도 최장 거리 통행료가 부과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한국도로공사 콜센터에 전화하셔서 통행권에 적혀있는 톨게이트 넘버를 알려주시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데요. 통행권에 적힌 톨게이트 넘버가 휘발성이라서 시간이 지나면 점점 옅어진다고 해요.
혹시나 미심쩍은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통행권에 적힌 톨게이트 넘버를 저장해두시거나 메모해두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고속도로 통행권 미발급이나 분실시 대처 방법


제가 직접 겪었던 일이기도 한데요.
시댁과 회사가 가까운 안산이다 보니 한 달에 몇번씩 고속도로를 이용해서 다녀오곤 했어요.
그런데 고속도로 이용자가 많은 주말이나 밤에는 통행권 발급이 안 되는 때가 종종 있더라고요.
처음에는 호출을 해야 하나? 여기서 통행권 못 받으면 최장 거리 요금 내야 하는 거 아닌가?
이런 걱정들로 머릿속이 하얘졌답니다.
고속도로 입구에서 후진하거나 옆만으로 옮겨갈 수도 없으니까요.

​뒤차도 밀리는 상황이고 해서 일단 그냥 통과하고 도착지점에서 이러저러한 상황설명을 드렸죠.
지금은 하이패스를 달았지만 그때는 없었거든요. 그런데 제 생각과 다르게 너무 간단히 해결이 되더라고요.

​일단 출발지를 정확히 기억해두세요. 저는 고잔 IC에서 출발했다고 말씀드렸죠.
그랬더니 직원분이 사무실에 전화를 걸어 고잔 IC에서 출발한 제 차량번호 조회를 하신 뒤 나온 금액을 알려주시더라고요.​
하지만 문제는 입구영업소가 확인이 안 되는 경우인데요.

톨게이트가 크거나 차량 통행이 많은 곳은 차량 조회가 즉각 가능하지만 외진 곳이나 무인톨게이트로 운영되는 곳은 입구영업소 확인이 안 되기도 하거든요. 이럴 경우에는 톨게이트 직원분이 안내해주시는 대로 블랙박스 영상같이 증빙할 증거자료를 준비해서 영업소로 가시면 된다고 하니 너무 당황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통행권을 뽑고 하이패스로 나왔을 경우


만약 통행권을 뽑고 하이패스로 나왔거나 하이패스인데 일반차량으로 진입했을 경우에는 통행권을 분실 및 폐기하지 마시고 가까운 영업소에 방문하셔서 통행권을 반납하면 요금조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좀 더 쉬운 방법으로는 한국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로 문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이패스와 일반차량 혼용차로에서 통행권이 안 나올 때

고속도로 하이패스 혼용차로에서 통행권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바로 단말기 때문인데요, 단말기가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의 상황에 따라 통행권이 발급되기 때문입니다.
카드를 뽑았더라도 단말기가 켜져 있으면 하이패스 차량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통행권이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이패스 혼용차로에서 통행권 발급받기를 희망한다면 먼저 단말기가 완전히 꺼져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카드만 뺀다고 해서 단말기까지 꺼지지 않아요. 꼭 단말기 꺼짐을 확인해주세요.​

​하이패스 단말기 버튼 끄는 방법은 전원 버튼 꾼~욱 누르기입니다!!! 고속도로 톨게이트 미납부 차량 통과 시 요즘은 대부분 하이패스 차량이라서 미납될 경우가 드물지만 남의 차를 운전한다든지 아니면 단말기에 카드가 꽂히지 않아서 생기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요. 이렇게 미납 차가 톨게이트를 통과할 경우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는데요.

톨게이트를 그냥 통과해버릴 경우 집으로 미납부 톨게이트 요금 안내서가 발송되기 때문입니다.​

​단, 1년간 20회 이상 미납 통행 시 부가통행료 10배가 부과된다고 하니 주의하세요!!!
그리고 또 한 가지 주의할 점은 고속도로 진입 후 24시간 이상이 지나면  최장 거리 요금이 납부된다는 사실!!!


고속도로 톨게이트 미납통행료 납부 방법


한국도로공사에서 지로용지로 납부 안내문이 차량 주소지로 발송되는데요. 지로통지서에 나온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납부하시면 됩니다. 직접 방문 납부를 희망할 경우​ 영업소 / 금융기관 / GS편의점(365일 24시간 GS편의점에서 미납통행료 납부가 가능합니다) / 휴게소를 통해 납부하시면 됩니다.

​방문할 필요 없이 미방문 납부도 가능한데요. 홈페이지 / 콜센터(1588-2504) / 금융기관 / 모바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ARS 납부 서비스 이용할 경우에는 콜센터 ARS를 통한 미납 신용카드 납부 / 1588-2404 -> 3번 -> 2번 -> 3번으로 빠른 납부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이제 여름휴가가 시작되고 금방8월이 지나면 9월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오는데요.
가족들을 만난다는 설렘과 장거리 이동에 대한 부담감이 동시에 느껴질 것 같습니다.

​고속도로 통행료가 무료이긴 하지만 그래도 통행권은 발급받으셔야 한다는 거 잊지 마시고요,. 발급받으신 통행권은 도착지에 제출해주세요.

늘 고속도로에서 안전 운전 하시길 바라면서 고속도로 톨게이트 통행권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공감과 구독은 힘이됩니다.

반응형